지도투영법
1. 지도투영법의 정의와 구분 |
면적 수십㎢의 지표를 지도화할 때는 지표면을 간단히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면적이 이보다 훨씬 넓거나 지구 전체를 지도로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는 구면을 평면으로 옮겨야 하는 어려움이 생긴다. 톨레미는 이미 기원 2세기에 세계지도를 작성할 때 이와 같은 문제에 봉착하여 오늘날의 원추도법의 원리를 응요한 것처럼 보이는 지도투영법(map projection)을 고안해 냈다. 단수히 도법이라고도 불리우는 지도투영법이란 경위선으로 이루어진 지구상의 가상적인 망 또는 좌표를 평면에 옮기는 방법을 가리키는 것이다. 구면의 좌표를 평면에 옮길 때는 왜곡(distortion)발생하며, 이 왜곡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많은 종류의 투영법이 등장하게 되었고, 각기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구면의 좌표를 평면으로 옮길 때 발생하는 왜곡은 면적, 각도, 방위, 거리 등 네 측면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투영법은 이 중에서 어느 한 조건만 만족시켜 부며, 그 용도도 주로 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어느조건을 만족시켜 주느냐에 따라 투영법을 정적도법, 정각도법, 방위도법, 정거도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지도투영법의 구분
구분 |
종류 |
특징 |
투영형태 | |||||
투시도법 |
원통도법 |
적도중심의 저위도 정확, 고위도 확대, 경·위선이 직교 |
| |||||
원뿔도법 |
표준 위선 정확, 주변부 확대, 모든 경선은 방사상의 직선, 모든 위선은 동심원상의 곡선 |
| ||||||
방위도법 |
접점 부분이 정확(정사, 평사, 심사 도법)
|
| ||||||
비투시도법 |
정각도법 |
원통 도법의 응용, 저위도 정확, 고위도 확대(메르카토르 도법) |
| |||||
정적도법 |
분포도, 통계 지도에 적합(시뉴소이드, 몰바이데, 구드 도법) |
| ||||||
정거도법 |
거리가 정확하도록 만든 지도, 항공도, 지진도, 전파도에 이용 |
|
2. 정적도법 |
정적도법은 면적이 정확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 도법으로서 이같은 특성은 경위선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얻어진다. 지도상에서 일정한 간격의 경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어디서나 지구상에서의 해당부분과 비교할 때 면적의 비율이 동일하며, 정적성이 지도 전체에 적용된다. 그러나 정적도법에서는 주변부로 갈수록 각도의 왜곡, 즉 형태가 심하게 일그러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형태의 왜곡이 심하지 않은 중심부는 국가 및 대룩의 일반도 제작에 이용되기도 하나, 특히 정적도법은 각종 현상의 세계적인 분포도를 작성할 때는 필요불가결한 도법이다.
정적도법의 종류
도법 |
경선 |
위선 |
특징 |
이용 |
시뉴소이드(상송) |
사인곡선 |
등간격직선 |
중앙 경선과 적도를 1: 2의 비율 원통 도법의 고위도 지방 확대를 개량 |
저위도 중심의 세계전도. 저위도 지방지도 |
몰바이데 |
타원곡선 |
평행직선 |
시뉴소이드 도법의 고위도 축소 개량 고위도 정확, 저위도 부정확 |
고위도 중심의 세계전도 |
구드(호몰로사인) |
사인곡선 타원곡선 |
직선 |
상송도법(저위도)+몰바이데도법(고위도) 40°44′에서 결합, 대표적 정적도 |
분포도, 밀도도 |
|
|
|
상송도법 |
몰바이데도법 |
구드도법 |
3. 정각도법 |
정각도법은 지구의에서 처럼 경위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각도의 관계가 정확하게 나나타는 도법이다. 정각성은 경선과 위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고, 교차점을 중심으로 경선과 위선의 축척이 동일한 비율로 전개될 때 얻어진다. 따라서 경위선이 직각으로 만난다고 하여 모두 정각도법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지도의 주변부에서는 축척이 크게 확대되는 것이 단점이나, 국가나 대륙의 형태를 바르게 나타낼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된다.
|
|
|
|
4. 방위도법 |
방위도법은 방향이 정확하게 나타나는 도법이다. 방위, 즉 방향이 정확하게 나타난다는 것은 지도상에서 두 지점 간의 최단거리가 직선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한 오늘날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투영법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방향이 정확하게 나타나는 것은 모두 방위도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평면에 종이를 지구의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지구의의 중심이나 그 밖의 지정된 점에서 빛을 비추면, 경위선의 그림자가 종이에 던져질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의한 투영법은 모두 방위도법에 속하며, 투영법이라 ㄴ용어도 지도제작에 이와 같은 방법이 적용된다는 뜻에서 나오게 되었다.
방위도법에서는 지구의와 투영면이 접하는 점이 지도의 중심이 된다. 이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긋는 직선은 모두 대권과 일치하며 방향이 정확하다. 지구전체나 반구만을 보여줄 때는 지도의 윤곽이 원으로 나타나고, 축척이나 형태의 왜곡이 지도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펼쳐진다.
방위도법의 종류
종류 |
시점 |
횡축 투영 |
특징 |
용 도 | |
경선 |
위선 | ||||
정사도법 |
무한대 |
곡선 |
직선 |
입체감 있는 형태 중앙부 정확, 주변부 축소 |
장식용의 반구도 |
평사도법 |
지표면 |
곡선 |
곡선 |
중앙부 정확, 주변부 확대 지도의 중심에서 대권 표시 |
반구도, 정형·정각도 |
심사도법 |
지구중심 |
직선 |
동심원 |
중앙부 정확, 주변부 확대 극심 지도의 모든 직선이 대권 |
항공용 지도 |
|
|
|
정사도법 |
평사도법 |
심사도법 |
|
'지리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포늪 (0) | 2008.05.28 |
---|---|
[스크랩] <호수 물 1000만 t ‘언제 터질까’ 조마조마> (0) | 2008.05.20 |
노아의 방주 지구온난화 경고 (0) | 2008.03.05 |
현대판 노아의 방주 (0) | 2008.03.05 |
거가대교 침매터널 (0) | 200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