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우포의 시계열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1910년대, 1960년대, 1990년대의 3시대의 지형도를 이용하여 그 분포와 추이를 살펴본 결과, 토평천을 중심으로 1910년대 지형도에는 큰 호소들이 여럿 보인다. 우포와 사지포, 고포, 사물포가 그것이며 그 외에도 몇몇의 작은 호소들이 나타난다. 이들을 중심으로 ‘벌’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새거리벌과 학엄벌을 중심으로 습지가 분포해 있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우포와 고포는 연결되어 있었으며, 사물포는 그 면적이 넓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지형도 상에 사물포는 거의 사라져 상류부분만 규모가 작은 저수지로 되어 있고 하류부분은 거의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새거리벌의 습지는 모두 개간되어 농지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포는 목포로 변경되어 나타나며 그 면적이 많이 줄었고, 우포와 경계를 이루는 제방이 건설되어 있다. 고포의 호소 부분인 쪽지벌을 중심으로 습지화 되어 있으나 사물포보다는 훨씬 유지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토평천의 하류 쪽으로 면적이 비교적 큰 팔락늪과 몇몇의 습지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우포는 낙동강 배후 특히 본류에 합류되는 소지류인 토평천을 따라 상류쪽으로 연중 물이 고여 있는 호소형 습지로 비교적 규모가 큰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우포 주변으로는 저수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초본류의 습지식생이 자라는 수변습지가 주변을 둘러싸는 모습도 보인다. 또한 저수지로 인해 하천 유로의 유량이 조절되어 감소되었거나, 차단되어진 하천에도 소택형 습지나 초본식생으로 이루어진 습지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제방을 쌓아 호소형 습지로 유지되면서 주변 농경지에 용수공급지로 이용되고 있다.
'지리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지에 관한 한국지리 관련 시험문제(저작권 있음) (0) | 2008.06.16 |
---|---|
[스크랩] <이소연씨가 우주서 촬영한 지구 사진> (0) | 2008.06.13 |
[스크랩] <호수 물 1000만 t ‘언제 터질까’ 조마조마> (0) | 2008.05.20 |
[스크랩] 지도 투영법 (0) | 2008.05.14 |
노아의 방주 지구온난화 경고 (0) | 200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