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푄(Fohn) 현상과 높새 바람 1. 푄 현상은 대기가 산지를 넘어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바뀌는 것으로서 알프스 산지의 푄 바람에서 유래했다. 2. 그림에서 (가)의 건조한 공기가 단열 팽창하면서 상승하여 해발 고도 500m에서 응결하였다면 이슬점은 15'C가 된다(건조 단열 변화율 1'C/100m). 산 정상에서는 12.5'C가 되고(산 정상 고도 1,000m, 습윤 단열 변화율 0.5'C), 바람의지 사면에서는 건조한 공기로 바뀌며 건조 단열 압축이 일어나 (나)에서는 기온이 22.5'C로 올라가게 된다. 3. 높새 바람은 초여름에 오호츠크 해 고기압이 동해로 확장할 때 영동 지방에서 태백 산맥을 넘어 영서 지방으로 부는 북동풍을 말한다. 높새 바람이 불면 영동 지방은 비가 내릴 수 있지만 영서 지방은 가뭄의 피해를 입기 쉽다. (자료출처) 권동희교수님(http://user.chollian.net/~kwon55/)] http://www.chungc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