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수업자료

갯벌 염생습지, 염생식물(퍼온것)

햇살수풀 2006. 7. 7. 08:44

800만평 광활한 갯벌, 순천만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춘 해안하구의 자연생태계가

원형에 가깝게 보전되어 있는 순천만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순천만은 지난 2003년 12월에 해양수산부로부터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동북아 두루미 보호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으며,

2006. 01. 20일에는 연안습지로는 전국 최초로 람사협약에 등록되었습니다.

 

 

 


람사협약(Ramsar Convention)이란
습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적인 생명부양의 생태계이며 습지의 보호는 생물학적, 수리학적, 그리고 경제적 이유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는 관개와 매립, 오염 등으로 습지가 훼손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와 같은 습지 파괴를 저지하기 위해 1960년 국제 수금류 조사국(IWRB) 주최로 되어 일련의 국제회의와 실무자(기술)회의가 개최되었고, 그 토의결과로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람사(Ramsar)에서 협약이 조인되었습니다
.

 

 

 

 

 

 

 

 

 

 

 

 

 

 

 

 

 

 

 

 

 

 

 

특히 순천만은 조류와 갯벌 또한 흑두루미의 월동지로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갈대가 고밀도로 단일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갈대 군락은 새들의 서식환경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고 자연정화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아름다운 순천만의 S자형 수로는

우리나라 사진작가들이 선정한 10대 낙조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좋지않은 날씨로 촬영에 실패했습니다 ㅠㅠ)

 

 

 

순천만에는  퉁퉁마디 · 갯길경 및 거머리말 ·해조류 의 염생식물들이 살고 있으며

총 36과 92속 116종의 많은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염생식물은 칠면초갈대입니다.

칠면초는 순천만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우점종이며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나문재는 제방 하부의 건조한 땅에서 군락을 이루며,

갯개미취 군락과 갯질경 군락은 수로변이나 물이 고여있는 웅덩이 근처에서 많이 자랍니다.

바닷가 모래 땅에서는 순비기나무와 갯메꽃, 갯까치수영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논과 밭이 있는 내륙쪽으로는 실망초 군락과 돌피군락이 자리잡고 있고,

그 사이사이로 갈대군락이 우점종으로 자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습지의 역활과 가치에 대해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환경적 가치
사회경제적 가치
어류의 산란장
패류의 서식지
물새 및 야생동물의 서식지
수질 보전 기능
   (오염물질여과, 토사 제거, 산소 생산,
   영양염류 순환)
수중 생산력 향상
미세 기후 조절
홍수 조절
해상재해 방지
해안 침식 조절
지하수 양의 조절 및 재공급
목재 및 천연 자원 공급
가축의 먹이 제공
심미적 가치
교육 및 과학 조사
문화적 자산
고고학적 자산

 

<출처 : http://www.suncheonbay.go.kr>

 

 

 

 

 

 

 

이번주말 가족과 함께 습지의 가치를 생각하며 순천만 나들이 어떠세요^^

'지리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형성 강우(폭우)의 원인기사  (0) 2006.07.18
태풍진로  (0) 2006.07.11
[스크랩] 캐나다 온대우림  (0) 2006.07.02
[스크랩] 두물머리, 아침  (0) 2006.06.23
축구퀴즈  (0) 200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