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 약 8㎞이다. 1800년대 이후 두만강 상류의 모래가 유속(流速)에 밀려 내려와 녹둔도와 그 대안(對岸) 사이에 퇴적하여 육지와 연결되었다. 현재의 상황은 알 수 없으나 1990년 무렵에는 100호의 인가가 있어 벼·조·옥수수·보리 등이 재배되었고, 주변에서는 연어·붕어·황어·숭어 등이 주로 잡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세종 때 6진(鎭)을...
출처 : 사회 이미지 창고
글쓴이 : 주여니 원글보기
메모 :
'지리수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남아프리카 나미비아 나미브사막 (0) | 2008.02.11 |
---|---|
[스크랩] 날씨아 기후에 관한 속담들 (0) | 2008.01.28 |
[스크랩] 마법의 지도 만들기 (0) | 2008.01.08 |
하중도, 삼각주, 하구언 (0) | 2008.01.04 |
[스크랩] 외국 전문가도 놀란 빠른 복구 비결은… (0) | 2007.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