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리관련보도자료방
이전 복원 예정이라 합니다.
햇살수풀
2006. 4. 19. 16:57
오늘 경상일보 실린 이진리 소식 입니다.
기사 제목 : 이전복원 후 수변공원화 가닥
신항만 구간 포함 보존 어려워 바위 밀집지대로 이동
'자연사적 보존가치'와 '국책사업'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울산시 울주군 이진리 해안의 범바위 등 일명 '타포니(tafoni)해안'의 보존방안(이전대책)이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이 일대의 문화재 지질조사를 토대로 심의를 개최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지 않겠다'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고 울산시에 학술조사 용역보고서에 준해 자체적으로 보존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지난해 말 범바위 중 일부 훼손된 부분은 제외하고 신항공사 및 산업단지개발사업 현장 일대에 위치한 범바위의 이전 및 보존대책을 마련키로 하고 연구조사기관에 의뢰, 도출된 대안을 놓고 현재 해양청 등과 협의에 나서고 있다.
시나 해양청은 해안 보존대책으로 '큰 범바위'일대 500여평은 신항만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고, 범월갑방파제 공사 구간에 포함된 '작은 범바위'와 '개구리 바위'는 이전 복원하는 방향으로 기본 골격을 세우고 있다.
◇원형보존 대안…이전 후 친수공간 조성
차일암은 세진중공업이 산업단지개발부지에 포함시켜 보존되지만 사실상 신항만 건설 구간에 포함된 범바위 등은 '원형보존' 대신 이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조사 기관의 보존방안에 의하면 산업단지개발사업자인 이영산업 인근에서부터 100~200여m 해안에 걸쳐 놓여져 있는 '밤톨바위' 등 암석군과 신항 범월갑방파제 개발 예정지에 위치한 범바위를 기존 바위들이 밀집한 곳에 집적화한다는 방안이 제시돼 있다.
이영산업 위쪽 해안가 중 10여개의 암석군이 밀집해 있는 길이 150m, 폭 50m의 항만부지에 이들 범바위를 이전해 복원한다는 것이다.
이곳은 그동안 산업단지개발(도로호안) 조성 과정에서 타포니군 가운데 일부가 매립돼 사라졌던 곳이다.
향후 이전이 완료되고 나면 해안을 경계로 설치돼 있는 옹벽을 철거한 뒤 암석군 주위로 울타리를 조성, 수변공원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방안은 산업단지개발사업과 국책사업인 신항만 건설 사업을 감안, 원형보존 자체가 어려운 만큼 이전조치 후 친수공간으로 조성한 뒤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신항만 등의 사업에 탄력을 불어 넣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 방안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이전대상지가 향후 매립지로 예정돼 있기 때문에 신항만건설 사업자와 해양청, 울산시간의 의견조율이 선행돼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시행자들과의 협의·비용 해결 과제
이전대상지인 항만부지는 신항 범월갑방파제를 조성하기 위한 블록제작장 매립지로 지정된 곳이다. 또한 범월갑방파제가 조성되고 나면 향후 신항 남항부두로 편입될 예정이어서 이같은 이전방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시행자들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울산해양청은 범월갑방파제 사업시행자인 현대건설과 친수공간 조성에 따른 대체 제작장 부지활용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 중이며 조만간 남항부두(9번 선석) 사업시행자와도 논의할 계획이다.
범월갑방파제에 앞서 남방파제를 건설하고 있는 사업시행자가 현재 온산 하수종말처리장 인근 민자 작업부두를 활용해 블록제작장으로 활용하고 있는 만큼 기존 야적장 부지를 이용할 경우, 문제해결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게 해양청의 설명이다.
여기다 이전 및 친수공간 조성에 따른 비용부담 주체 등의 문제도 남아 있어 향후 협의도출 과정에 일부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울산시와 해양청은 이전처리 비용에 대해 '원인자 부담 원칙'을 확고히 하고 있다. 산업단지 인근 암석은 개발 업체가, 범바위는 신항 사업시행자가 이전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해양청 관계자는 "이전대안으로 나온 방안인 만큼 사업시행자와 울산시 등과 함께 최대한 암석군을 보존하는 방향에 맞춰 협의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2006.04.18 22:56]
기사 제목 : 이전복원 후 수변공원화 가닥
신항만 구간 포함 보존 어려워 바위 밀집지대로 이동
'자연사적 보존가치'와 '국책사업'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울산시 울주군 이진리 해안의 범바위 등 일명 '타포니(tafoni)해안'의 보존방안(이전대책)이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이 일대의 문화재 지질조사를 토대로 심의를 개최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지 않겠다'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고 울산시에 학술조사 용역보고서에 준해 자체적으로 보존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지난해 말 범바위 중 일부 훼손된 부분은 제외하고 신항공사 및 산업단지개발사업 현장 일대에 위치한 범바위의 이전 및 보존대책을 마련키로 하고 연구조사기관에 의뢰, 도출된 대안을 놓고 현재 해양청 등과 협의에 나서고 있다.
시나 해양청은 해안 보존대책으로 '큰 범바위'일대 500여평은 신항만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고, 범월갑방파제 공사 구간에 포함된 '작은 범바위'와 '개구리 바위'는 이전 복원하는 방향으로 기본 골격을 세우고 있다.
◇원형보존 대안…이전 후 친수공간 조성
차일암은 세진중공업이 산업단지개발부지에 포함시켜 보존되지만 사실상 신항만 건설 구간에 포함된 범바위 등은 '원형보존' 대신 이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조사 기관의 보존방안에 의하면 산업단지개발사업자인 이영산업 인근에서부터 100~200여m 해안에 걸쳐 놓여져 있는 '밤톨바위' 등 암석군과 신항 범월갑방파제 개발 예정지에 위치한 범바위를 기존 바위들이 밀집한 곳에 집적화한다는 방안이 제시돼 있다.
이영산업 위쪽 해안가 중 10여개의 암석군이 밀집해 있는 길이 150m, 폭 50m의 항만부지에 이들 범바위를 이전해 복원한다는 것이다.
이곳은 그동안 산업단지개발(도로호안) 조성 과정에서 타포니군 가운데 일부가 매립돼 사라졌던 곳이다.
향후 이전이 완료되고 나면 해안을 경계로 설치돼 있는 옹벽을 철거한 뒤 암석군 주위로 울타리를 조성, 수변공원화 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방안은 산업단지개발사업과 국책사업인 신항만 건설 사업을 감안, 원형보존 자체가 어려운 만큼 이전조치 후 친수공간으로 조성한 뒤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신항만 등의 사업에 탄력을 불어 넣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 방안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이전대상지가 향후 매립지로 예정돼 있기 때문에 신항만건설 사업자와 해양청, 울산시간의 의견조율이 선행돼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시행자들과의 협의·비용 해결 과제
이전대상지인 항만부지는 신항 범월갑방파제를 조성하기 위한 블록제작장 매립지로 지정된 곳이다. 또한 범월갑방파제가 조성되고 나면 향후 신항 남항부두로 편입될 예정이어서 이같은 이전방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시행자들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울산해양청은 범월갑방파제 사업시행자인 현대건설과 친수공간 조성에 따른 대체 제작장 부지활용 등에 대해 협의를 진행 중이며 조만간 남항부두(9번 선석) 사업시행자와도 논의할 계획이다.
범월갑방파제에 앞서 남방파제를 건설하고 있는 사업시행자가 현재 온산 하수종말처리장 인근 민자 작업부두를 활용해 블록제작장으로 활용하고 있는 만큼 기존 야적장 부지를 이용할 경우, 문제해결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게 해양청의 설명이다.
여기다 이전 및 친수공간 조성에 따른 비용부담 주체 등의 문제도 남아 있어 향후 협의도출 과정에 일부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울산시와 해양청은 이전처리 비용에 대해 '원인자 부담 원칙'을 확고히 하고 있다. 산업단지 인근 암석은 개발 업체가, 범바위는 신항 사업시행자가 이전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해양청 관계자는 "이전대안으로 나온 방안인 만큼 사업시행자와 울산시 등과 함께 최대한 암석군을 보존하는 방향에 맞춰 협의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2006.04.18 2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