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교사되기

꼭 읽을 것

햇살수풀 2007. 11. 19. 11:06
자양고 송형호입니다.

수업자투리 시간이 나서 아이들에게 선생님 글 보여드리고 아이들과 잠시 나눈 대화입니다.
제가 요즘 치료로서의 교육에 마음을 두고 있습니다.
힘드시거든 전화주세요.
011-411-2391

아래는 작년 11월에 써둔 글입니다.


우리가 할 일은 우리 자신의 가치관, 소망, 사명을 담은 프레임을 구성하되 상대방의 프레임을 공격하지 않는 것이다.
--- 코끼리는 생각하지마(Don't think of an elephant)에서

공교육의 위기는 분명 더욱 더 심해질 것입니다. 교직 22년의 경험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1, 2 명의 학습장애, 1,2명의 우울증, 1,2명의 ADHD 학생이 거의 모든 반에 존재하니까요.
94년부터 7년여를 생활지도부에 있으면서 각 학교의 사안을 일으키는 아이들이나 담임으로서 혹은 교과교사로서 어려움을 주는 아이들을 대하면서 매나 야단을 보류하고 그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려고 나름 대로 애쓴지 12년.. 이제 이들의 행동은 생활지도의 영역이 아니라 치료 내지는 그 예방이 필요한 마음의 병이라는 느낌입니다.
언제까지나 아이들만 탓하고 제도나 가정, 달라지는 아이들에게만 그 탓을 돌릴 수 만은 없을 것 같습니다. 진지하게 공교육속에서 대안을 우리 스스로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 스스로 새로이 수업방법을 정립했으면 합니다.
정상적인 아이들을 가르치는 방법을 연구하는 데도 시간이 부족하겠지만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아이들에게서 일어나는 일이 정상적이라고 보이는 아이들의 행동이나 생각에도 틈틈이 일어나게 마련이어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교사인 저 자신도 꿈속에서 자신이 평소 의식하지 못했던 일들이 (때로는 당혹스러운) 일어나고는 하니까요.


혹 아이들과 몸살을 앓고 계신가요?
몸살은 기진한 이의 회복과정이라고 합니다.
그 회복 과정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교직 22년의 경험을 모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글을 올리는 데 초등 5학년 작은 애가 "독수리 타자"라며 놀립니다.
기술이 문제겠습니까? 마음이 문제겠지요^^

이 게시글 제목에 커서를 대고 즐겨찾기 해 두시고 주변 선생님들께는 바로가기복사한 다음 주소를 메신저로 혹은 메일로 보내 주세요..
수시로 업그레이드하겠습니다.
우리가 처하고 있는 가장 깊은 고민들을 외면하지 않고 똑바로 쳐다 보기를 시도합니다..

참여와소통훈육을 통한 학급, 수업운영 원고(서울,인천,충남교육연수원 강의교재 원고임)
참여와 의사소통을 통한 훈육 및 새로운 학급운영과 종례신문 일년분 다운받기

교사간 개방과 공유가 학교 혁신의 첫 걸음!

공유는 이기면서 동시에 이타 행위
ICT와 저의 묘한 인연: ICT전도사가 되기까지..

[들어가면서]
왜 변화해야 하는가?
제가 관심을 두고 있는 수업, 학급운영 혁신과제들입니다..
사회의 의사소통 구조의 변화 필요성
가정의 의사소통 구조의 변화 필요성
수업의 미시적 권력 행사를 해체하자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습니다..

1. 예방과 치료로서의 교육: 아이들 제대로 보기
(1) 이혼, 별거 (DIVORCE) 등의 아픔을 겪고 있는 아이들에게
(2) 산만한 아이들의 이해
(3) 산만한 아이들(ADHD)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방법(수시 업글중)
(4) 영상치료(videotherapy) 동영상으로 아이들의 마음과 만나기
(5) 왕따(BULLYING) 문제 치료
(6) 우울증(MELANCHOLIA) 예방과 치료
(7) 가출(RUNAWAY), 성교육
(8) 장애학생과 더불어 살기
(9) 이미지와 글을 통한 치료
(10) 다양한 진로지도를 통한 치료

2. 참여와 소통에 의한 학급운영
(1) 달라지는 공교육 환경: 한부모가정, 빈곤가족의 등장
(2) 청소년기의 건강에 대한 이해
(3) 참여를 통한 학급규칙의 제정 및 운영
(4) 참여와 의사소통 조종례
(5) 꽃으로도 때리지말자
(6) 모둠스티커를 학급 전체 스티커로
(7) 왕따와 학교폭력에방
(8) 멀티미디어 조종례 자치적응(생활지도)
(9) ICT는 의사소통의 도구일 뿐
(10) 새로운 환경미화
(11) 진로전문가가 됩시다
(12) 생활통지표를 칭찬의 도구로
(13) 학급운영의 마무리과정으로서의 생활기록부 입력
(14) 학급운영 도서목록 구축
(15) 아이들을 이해하자/마음이 아픈 아이들(우리교육 기사)
(16) 칭찬 능력을 키우자
(17) 교사의 마음공부가 필요합니다
(18) 봉사활동지도
(19) IT한류구축 봉사활동
(20) 자치적응 평가


3. 참여와 소통에 의한 수업운영
(1) 참여와 의사소통 수업이란?
(2) 체험중심의 프로젝트 과제
(3) ICT활용수업의 최고 효용
(4) 즐거운 학교 싹틔우는 ‘교과교실’
(5) 인터넷의 무진장 이미지를 내 수업에//
(6) 학습자료의 검색과 활용
(7) 진정한 수행평가
(8) 교육과정평가원이 평가한 저의 수업
(9) 아이들이 참여하는 놀이의장(에듀넷 기사)
(10) 교사 역할 최소로 줄여야 아이들 참여한다!(우리교육 기사)
(11) 교사학습조직의 필요
(12) 수업평가

[부록]
영어단어공부자료제공
소설읽기지도


"결코 완전한 선생은 있을 수 없다. 어떤 어린이도 나름대로 새로운 과제이고 새로운 수수께끼이기 때문이다. 어린이를 본질적으로 이해하려는 것, 그것은 대단히 힘든 작업이지만 유일한 진실한 작업이다. 깊은 관심을 가지고 어린이의 병적 징후를 더듬어 갈 때, 우리들은 최상의 자기 교육을 하는 것이다."
- 교육은 치료다 루돌프 슈타이너 (출판사:물병자리)



플래시 동영상으로 보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입니다^*^

첨부 파일입니다

******************
아래는 이수희 선생님 글(바로 위 게시글입니다. 건강한 가족만들기를 주제로 하고 있는 데 정말 소중한 자료라 옮겨 싣습니다.

초·중등학교 FLE의 진단과 ‘건강한 가족 만들기’ 실천사례

이 수 희
서울대학교 강사, (전)서울사대부고 교사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Ⅱ. 초·중등학교에서의 FLE 진단
1. 초·중등학교 교과에서의 FLE
2. 학생들의 개인, 가족·가정생활 실태 진단
3. 초·중등학교 FLE의 과제
Ⅲ. 외국의 FLE 사례
1. 미국의 가정과교육에서의 FLE
2. 일본 초·중등학교의 FLE
Ⅳ. ‘건강한 가족 만들기’ 수업 실천 사례
Ⅴ. 맺는 글


Ⅰ. 들어가는 글

여성가족부의 가족정책에 대해 말이 많았다(한겨레 05.6.29일자). 그 비판의 이유가 말로만 다양한 가족을 지원한다고 하면서 핵가족 중심의 ‘평균가족’만 끌어안는 가족정책이라는 데 있다는 것이었다. 즉 동성애 가족, 동거가족, 공동체 가족 등은 가족정책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이혼율 증가, 결혼과 출산 기피현상의 원인을 가족관계 및 가족구성원 간의 유대가 약화된 데에서 찾고, 이런 현상을 극복하려고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하겠다는 시도 자체가 보수적이란 지적이었다. 물론 국가정책은 이 모든 가족을 끌어안아야 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문제는 정말 보통의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는 데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이 보통의 가정이 무너짐으로 인해 보통 가정의 아이들이 멍들고 방황하고 있으며, 그런 가정의 아이들이 결혼해 쉽게 이혼을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통의 가정이 바로 서고, 건강한 가정을 만들 수 있도록,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가족생활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을 맡아야 할 곳이 학교이며, 학교교육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교과가 바로 가족생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가정교과임에 틀림없다.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가정교과 내용 중 가족생활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위기의 가정에 대한 인식은 있지만, 교과 내 가족생활교육 내용은 변화되지 않고 있다. 이렇게 가족생활교육을 받아서, 전형적이고 전통적인 가족의 상이 달라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과연 행복한 가정을 만들어 갈 수 있을까. 지금이야말로 이러한 위기의 시기를 살아갈, 미래 가정의 주역인 남녀 학생들에게는 가족생활에 대한 이론학습뿐만 아니라 자기관리 능력 기르기, 의사소통 능력 기르기, 건강한 가족 만들기, 위기관리 능력 기르기, 현명한 부모 되기 등 가족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적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서 가족생활교육 실태를 진단해 본 후, 가족·가정생활의 변화를 우리보다 빨리 경험하고 있는 미국, 일본의 가족생활교육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미국 유타주의 11-12학년용 가족생활 프로그램인 ‘성인의 역할과 책임’에서 벤치마킹해,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한 가족생활 프로그램의 실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Ⅱ. 초·중등학교에서의 FLE 진단

1. 초·중등학교 교과에서의 FLE

현재 초등교육 교과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생활교육은 도덕, 사회, 실과교과 중 가정 영역의 교육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도덕과는 가족생활 영역 중 가정생활을 잘 영위하기 위한 조건으로 주로 가족 간의 존중, 예절 등을 다루면서 이를 통한 인간관계의 기초를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가정과 이웃생활을 화목하게 영위하기 위해 요구되는 올바른 태도와 습관의 형성을 주된 내용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회과에서는 사회변화에 따르는 가정생활의 특징을 대전제로 사회의 구성과 유지에 기여하는 기본적 단위요 요체로 기능하는 현대가정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주 관점으로 한다. 또 ‘가정생활의 중요성’과 화목한 가정을 위해 필요한 각자의 역할을 깨닫게 하는 것’은 사회화의 차원에서 아동의 생활에 적용시킬 객관적 지식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사회과의 궁극적 목표인 ‘바람직한 시민적 자질 함양’과 맥을 같이 한다. 실과에서는 아동의 경험을 통해서 가정생활을 잘 할 수 있는 조건이나 상황을 인식하고, 이 사고과정을 통해서 어떻게 그 조건이나 상황이 달성될 수 있는 지를 깨닫게 한다. 따라서 가정생활과 가족 역할의 중요성은 아동마다의 생활경험을 통하여 그 의미를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전세경, 1998).
중등단계에서도 가족생활교육 내용이 도덕, 사회, 「기술·가정」교과의 가정 분야 중 ‘일과 가족생활’영역, 「가정과학」의 ‘가족생활’영역의 교육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기술·가정」교과의 가정 분야는 학습자로 하여금 가정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교육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교과이지만, 사회교과는 사회의 문제를 학습하고 그 학습을 통해서 사회생활에 필요한 자질을 교육하는 교과이다. 도덕교과는 도덕적 책임의식이나 행동을 교육시키는 데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이들 교과가 교과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회과에서 가정의 형태와 살림살이의 내용을 다루고 도덕교과에서 가족과 나의 관계와 가정예절, 자신에 대한 인식과 자기 존중, 진로결정과 직업이라는 단원을 다루지만 교과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펼쳐지는 내용과 수업방식이 다르다. 즉 사회교과에서는 가정 및 가족의 문제를 전반적인 사회적 이슈의 한 부분으로 다루며, 도덕교과에서는 도덕성을 기르기 위한 삶의 구체적인 문제로 가정의 내용을 다루지만, 가정과에서는 가족의 문제해결을 위해서 가족과 가정생활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다(채정현, 2002).
「실과(기술·가정)」교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가족생활’ 영역의 내용체계는 <표1>과 같다(교육부, 1997). 학습할 해야 할 내용의 중심 개념을 분석해 보면, 인간발달 과정의 특성, 부모·부부·형제자매·친구 등과의 인간관계, 부부의 책임과 의무, 가족 간의 역할, 가족복지, 가족생활 문제해결, 부모의 역할과 책임, 자녀양육 기술, 가족과 관련된 직업 등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부모와의 갈등, 진로문제, 친구문제, 돈 관련 문제, 성격문제-등을 교과서에서는 각 개념의 특성 정도만을 이론적으로 다루고 있어, 가정교과의 내용이 학생들 자신의 가정생활 및 일상생활에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김영나, 2003).

<표1> ‘가족생활’ 영역 내용체계
국민 공통 기본 교과과정선택과정5학년6학년7학년10학년11 - 12학년‘가족과 일의 이해’ 영역‘가족생활’ 영역․나와 가정생활
-가정생활의 중요성
-가정생활에서나의 위치와 역할
-생활계획과 실천․일과 직업의 세계
-가족이하는일,
-직업의 세계와
진로계획․나와 가족의 이해
-청소년의 특성
-성과 이성교제
-나와 가족관계․가정생활의 설계
-가정생활 문화
의 변화
-가족생활주기와
생활설계
-결혼과 육아․인간발달과 인간관계
-인간발달의 과정
-인간관계의 형성
․결혼과가족생활
-결혼과 가족의 역할
-가족생활의 문제와 해결
․자녀양육
-부모의 역할과 책임
-자녀양육과 지도
-가족생활 관련 직업

2. 학생들의 개인, 가족·가정생활 실태 진단

학교현장에서 예방 차원에서의 가족생활교육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개인, 가족·가정생활의 실태를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수희(1999)의 연구 등 관련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진단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2> 참조).
첫째, 사춘기의 학생들은 자신감 부족·자신의 성격 및 행동의 문제(97.2%), 진로 및 장래에 대한 불안(100%), 인간관계(교우관계 44.4%, 대인관계 및 적응문제 22.2%, 이성문제 20.3%), 性 및 학교폭력, 흡연·약물중독·술·자살 문제(각각 36.1%, 23.1%), 외모에 대한 좌절(69.4%) 등 많은 고민 속에서 방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청소년 상담실 상담내용의 73.5%가 학업성적, 진학 및 취업, 그리고 교우관계 등이 차지한다는 허무열(198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배영미(1998a)의 연구에서도 학업이나 시험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우울증이나 자살 충동,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용이 11.5%(31건), 가출, 흡연, 음주, 약물 오남용, 도벽 등의 내용 10%(27건), 교우관계나 진로 및 취업, 학습에 관련된 문제가 22%(49건)로, 전화상담 내용 중 43.5%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청소년관련 신문 기사 분석을 통한 연구(배영미, 1998b)에서도 청소년들의 고민 내용으로 시험·성적·대학입시·진로, 인생관, 외모, 친구관계, 성에 대한 내용들이었다. 이 모든 문제들은 청소년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지적하고 있다(구본용외, 1994; 김지선, 1996; 구본용외, 1996). 따라서 본 연구의 실태조사결과, 학생들은 가정과 수업을 통해 자신들의 실제적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이 길러지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여러 연구들(구본용외, 1994,; 김지선, 1996; 구본용외, 1996; 배영미, 1998a, 1998b)에서도 학교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등 자기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부모와의관계·의사소통문제(40.7%), 형제관계(20.4%) 등을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를 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배영미(1998a)의 연구와 이시경·유태명(1997)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고 있다. 배영미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자녀(편부모, 계부, 계모 등), 형제, 친·인척관계 등에서 오는 의견 불일치, 의사소통 단절, 갈등 등의 문제로 인한 상담이 전화상담 총 건수의 20.8%(56건)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이시경·유태명의 가족 갈등 조사 결과에 의하면, 가족 갈등 177건 중 부모와의 갈등이 124건(70.1%), 형제·자매와의 갈등은 53건(29.9%)로 부모와의 갈등이 현저하게 많았다. 부모-자녀와의 갈등은 상대방의 성격·행동, 성적·학업, 사고방식의 차이, 경제적인 문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 타협점을 찾거나 대화로 문제 해결을 하는 경우(23건, 18.5%)보다 참거나 회피, 양보, 말을 하지 않는 등 해결방법을 몰라 해결 안 된 경우(101건, 81.5%)가 훨씬 많아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그 외 다수의 연구에서도 가족의 진정한 기능회복을 위해 부모-자녀 간에 바람직한 의사소통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김오남, 1994; 서대선, 1994; 박은주·김경신, 1995). 이상의 학생들의 실태조사나 연구결과물은 학생들에게 의사소통 능력 및 가족·가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 즉, 이치에 맞는 판단, 훌륭한 의사결정, 성공적인 의사소통과 타협, 갈등상황과 문제의 해결, 책임 및 협동 등에 관한 훈련,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기술의 형성 등의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경제적 문제(82.4%), 가정의 갈등문제(38.9%), 형제의 진학·결혼·직장문제(19.4%), 가족의 대화시간 부족(18.5%), 아버지의 성격, 술·담배문제(9.3%) 등의 해결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 학생들은 가족·가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제적 문제, 가정의 갈등문제 등은 가족 해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위기관리 능력도 길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부모들의 양육태도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었으며(10.2%), 또한 부모의 훈육방식의 문제, 부모-자녀관계의 친밀도와 애착 및 의사소통의 결핍, 부모의 감독소홀 등이 청소년의 반사회적 행동의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 되고 있다(최규련, 1996). 즉 부모의 훈육방식이 정당하고 일관성이 있고 애정적이고 수용적일 때 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나, 거부적이거나 통제적인 태도, 심한 체벌, 모순 되고 일관성이 없는 태도는 청소년 비행을 조장한다. 특히 아버지의 훈육방식이나 태도가 문제되고 있는데, 아버지가 아들을 거부하거나 적개심을 가지고 있을 때, 아버지와의 관계가 더 좋지 않을 경우 청소년 자녀의 비행이 증가하고 특히 아들의 비행이 증가한다는 연구들이 보고 되고 있다(Bandura & Walters, 1963; 김경화, 1989; 민하영, 1992; 최규련, 1996 재인용). 여기서 학생들은 현명한 부모가 되기 위한 부모 준비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태를 통해, 학생들은 가족생활에 대한 이론의 학습은 물론 자기 관리 능력 기르기, 의사소통 능력 기르기, 건강한 가족 만들기, 위기관리 능력 기르기, 현명한 부모 되기 등 가족·가정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력을 기르는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화상담 사례 및 신문기사 분석을 통한 배영미의 연구(1998a, 1998b)에서는 청소년 문제 예방교육이 가족생활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3. 초·중등학교 FLE의 과제

1) 책임 있는 가족구성원, ‘건강한 가족’ 육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이 요구된다.
진정한 성인이 되려면 신체적으로 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성숙되어야 한다. 가족생활교육의 목적은 미래 가정의 주역인 남녀 학생들이 책임 있는 성인이 되어야 하는데 있다. 책임 있는 성인은 현재 및 미래 가정생활에서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뿐 아니라 수행한 역할에 대해서 책임질 줄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책임 있는 가족구성원들을 육성함으로써 가족문제 및 가족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감소시켜 ‘건강한 가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런데 일부에서는 ‘건강한 가족’이라는 말에 대해 거부 반응을 보이면서, 소위 비전통적 가족(동거가족, 편부·모가족, 복합가족 등)을 ‘건강하지 못한 가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고 오해를 하고 있다. 여기서 ‘건강한 가족’이란 어떤 가족의 형태에서도 서로 협동하고, 인내하고, 그리고 타협해서 공동체로서의 유대감을 다져 가는 그러한 가족을 말한다. 즉 가족원의 인격을 서로 존중하고 가족원의 상호작용-대화체계, 역할체계-이 잘 이루어져서 공동체로서의 균형을 잘 유지하고 있는 가족을 말한다. 따라서 부모와 미혼의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도 가족구성원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할 경우에 건강하지 못한 가정이라 할 수 있으며, 편모가정이나 복합가정도 가족구성원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때는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을 이룰 수 있다. 즉 학생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성장해 왔든 성장해 오지 않았든 간에 정신적·육체적으로 건강한 학생들 자신의 가정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학생들의 현재 가족이 좋은 모델이라면, 학생들이 장차 만들어갈 새 가족에게 그 장점들이 모델이 될 수 있으며,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다른 사람, 자기 자신 또는 환경을 비난하기보다 미래의 가족구성원이 서로 잘 보살피고 사랑하는 가정을 만드는 데에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좋은 모델을 만들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2) 실천문제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실천 중심의 가족생활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실천문제 중심 교육과정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여기서 실천문제는 실제 생활 장면에서 일어나고, 특정 상황 하에서 분명하게 되는 문제이며, 고유의 맥락에 입각한 사고와 구체적 행위에 의해 해결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것은 시간을 초월해서 연속적이고 세대를 초월해서 반복되는 문제이며, 가족의 영속적인 관심사로부터 이끌어내어 인간생활이나 인간관계 내에 존속하는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과제를 내포하고 있다.
실천문제 중심의 가정과 교육과정은 이 실천문제를 매개로 해서 학생들이 개인과 사회 사이에 개재하는 가족의 생활 현실을 인식함과 함께, 문제의 배후에 있는 본질을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학습방법으로서 실천적 추론 사고과정이 중시되고 있다. 실천적 추론은 실천문제 해결에 관한 사고 능력의 하나인데, 비판적 사고나 창조적 사고를 구사해서 학생들의 학습에 현실적인 의미를 주며, 가정과교육을 실제 생활상의 맥락과 통합하는 기능을 맡고 있다.
따라서 가족생활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자신의 개인적 의미와 관련성이 있는 주제를 선정해, 학습자의 동기 및 의미를 살려서 자아성찰과 토의를 통해 지식을 객관화/일반화 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자신은 물론 타인과 사회를 위해서 최선의 행동인가를 판단하게 해야 한다.


<표2>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문제 조사내용과 미국 가정과 교육내용과의 비교
해결을
원하는
실제적인 문제영역본 연구에서 나타난 내용(%)
(N=108, 복수 응답 가능)미국 오하이오州
중학교가정과교육내용미국 오레곤州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 개인
문제인간관계(86.9;교우44.4,이성20.3,
대인관계 및 적응22.2)
학업 및 진학, 장래문제(100),

자신감 부족, 자신의 성격 및
행동문제(97.2),
외모·키·몸무게 등 신체상의
문제(69.4),
흡연·약물중독·술·자살(23.1)
기타(1.9)동료관계(우정, 동료의
압력, 데이팅)
직업(자기평가,
직업선택 및 찾기)
자아형성(자존감,가치, 태도,목표,정서,자기조절)
개인적 용모(개인적 이미지 등), 건강한 생활양식
(체중조절, 무질서한
식습관,약물남용,자살 등)대인관계(긍정적 관계, 우정, 다른 사람의 독특성 인정하기, 동료의 압력)
진로선택
자아존중감 강화, 각자의 독특성 확인 가족·
가정
문제경제적 문제(82.4),
아버지의 성격, 술·담배문제(9.3),
가정의 갈등문제(38.9),
가족의 대화시간 부족(18.5),
부모와의관계·의사소통문제(40.7),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10.2),
형제관계(20.4),
형제의 진학·결혼·직장문제(19.4),
기타(10.2) 경제적인 자원(수입획득)
의사소통(의사소통 기술, 주장훈련, 갈등관리 등),
가족관계 (가족의 본질, 가족역할과 기능, 건강한 가족, 부모/아동관계, 형제자매관계, 가족위기와 스트레스, 가족폭력 등)
가족구성원 간의 건강한 의사소통, 긍정적인 방식으로 갈등 다루기, 가족의 위기 다루기, 인종적·민족적·문화적 다양성 받아들이기,
자녀와 보살피는 사람과의 권위, 자녀돌보는 일에서의 부모와 형제의 영향, 양육일상
생활
문제
(의·식·주 및
경제
생활)소비생활의 문제
(과소비, 절약문제, 충동구매,
합리적소비,외제선호등;54.6),
에너지, 자원관리문제(8.3),물가
안정, 교육비 등의 경제문제(13.0),
자신 및 가족의 건강문제(38.9),
식생활개선(0.9)
주거 문제(3.7), 주거환경(3.7)
기타(1.9)개인 및 경제적자원
(자원사용,시간관리, 소비양식,가계 등)

건강한 생활양식
(복지와 건강, 식품선택,
영양, 스트레스 등)
생활환경(주거 공간, 개인생활 공간 등)가족관계에서 일의 필요성,
시간과 돈을 위한 우선순위 매기기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사춘기 영양상태의 향상, 식품소비와 관련된 사회적 가치, 활동하는 가족의 식사준비)
소비자 책임(식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의 힘, 안전한 식품 공급, 자원의 책임있는 사용)환경

사회
문제학교·性폭력 및 性문제(36.1)

환경문제(재활용, 분리수거,
소음, 폐수 등: 56.5)
복지(여성 및 청소년 복지:12.0),
청소년 비행(6.5)
인간존중 및 도덕성 문제(5.6)
기타(교육환경, 빈부격차: 10.2)性 (성에 관한 의사결정, 십대 임신)
생활환경(세계환경에대한 관심)


자아형성(가치와 태도),
생활환경(함께사는 책임)

보살펴 주는 지역사회 만들기(지역 주민간의 갈등, 경제적 혜택이 필요한 사람 욕구 충족, 사춘기의 소속 욕구)
교육과 일의 역할 인식(가족 책임으로서의 일의 요구, 경제적 복지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 가족복지를 위한 교육)
지역사회에서 개인 및 가족 간의 관계의식 향상(사회적 책임, 가족복지 관련 문제, 지역사회 구축)
*이수희(1999),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p.159 재구성

III. 외국의 FLE 사례

1. 미국의 가정과교육에서의 가족생활교육

1) 가정과교육의 비젼과 사명
국가 기준의 가정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 개인과 가족이 다양하고 범지구적 사회의 일상생활 및 일 생활에서 받는 도전을 잘 처리해 나갈 수 있도록 힘을 부여하는 데 그 비전을 두고 있다. 또한 가족과 일 그리고 그들의 상호관련에 교과의 초점을 두고 있다.
가정과교육의 사명은 학생들로 하여금 가족생활, 일 생활, 가정과와 관련된 일을 준비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다음에 제시된 바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행동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생애 전 과정에 걸친 개인과 가족의 안녕을 강화하는 것
-가족, 지역사회, 직업현장에서 책임감 있는 시민과 지도자가 되는 것
-생애 전 과정에 걸쳐 최적의 건강과 영양 상태를 이루는 것
-개인과 가족의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자원을 관리하는 것
-개인, 가정, 가족, 일의 생활의 조화를 이루는 것
-다양한 가족, 지역사회, 직업 환경의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비판적이며, 창의적인 사고력을 사용하는 것
-성공적인 일상생활의 관리, 취업, 직업개발을 이루는 것
-물자와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로서의 효율적인 역할을 하는 것
-인간의 가치에 감사하고 행동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고, 가족과 일의 생활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것
☞ 미국에서의 캐치프레이즈 변화: ‘학교에서의 일터로의 이행’-->학교에서 미래 가족(가정)생활로의 이행

2) 유타 주의 사례
(1) 중등단계 가족생활프로그램
유타주 가정과의 경우, 가족생활교육에 해당하는 코스는 9-10학년용의 「10대의 생활(Teen Living)」, 10-12학년용의 「생활경영(Life Management)」, 11-12학년용의 「성인의 역할과 책임(Adult Roles & Responsibilities)」 등 3코스가 있다.

① 「10대의 생활(Teen Living)」 코스: 이 코스는 학생들이 개인, 가족 및 사회적 과제를 이해하고 잘 대처하도록 돕는 데 있다. 또한 이 코스는 의사소통, 의사결정력, 그리고 가족 및 동료와 안정된 관계를 구축하는 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코스는 학생들이 긍정적인 대처과정을 수행하고 자기 이해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 코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10대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제를 다룬다; 자아개념, 가족 및 동료관계, 약물남용, 인간성 상실, 이성교제와 10대 임신, 그리고 아동학대. 이 코스에서는 학생들이 평생 개인적 책임을 다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 코스에서는 다음의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다.
1. 10대 과도기
: 인간발달/ 감정 통제하기/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하기/ 현명한 판단하기/책임지기/ 역할모델/ 성 인지
2. 10대와 가족 : 가족구성원으로서의 10대/ 10대와 부모/ 10대와 형제/ 10대와 노인들
3. 10대 또래와 친구 : 또래 및 친구의 역동적 원리
4. 소녀와 소년
: 이성교제의 기쁨과 좌절/ 이성교제의 역동적 원리/ 성행위의 책임/ 10대 부모 노릇은 즐겁지 않다
5. 책임지기 : 시간에 도전하기/ 입장 취하기
6. FHA/HERO : 학생들의 기회

② 「생활경영(Life Management)」 코스 : 이 코스의 주요한 목적은 가족생활 내의 식, 의, 주, 재정, 수송, 결혼 그리고 아동양육(parenting) 을 포함한 가정학의 주요한 토픽을 통합하는 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가정 및 가족을 이룰 때, 그들 자신 및 다른 사람의 복지에 영향을 주는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과제에 대한 지식을 준비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 코스에서는 다음의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다.
1. 자립생활의 필수 요소
: 선택에 있어서의 가치와 목표의 효과 검토하기/ 인간관계의 다양성과 영향 확인하기/ 다양한 생활 역할 분석하기/ 개인 자원 평가하기
2. 실천적 추론 과정 : 실천적 추론과정의 단계
3. 실천적 문제 해결하기
: 살 곳 선택하기/ 수송수단 욕구 충족하기/ 재정 관리하기/ 최적의 건강을 위한 음식 계획하기/ 의복 선택 및 관리하기/ 결혼에 대해 생각하기/ 부모 됨에 대해 생각하기
4. FHA/HERO : 학생들의 기회

③ 「성인의 역할과 책임(Adult Roles & Responsibilities)」 코스 : 이 코스는 학생들이 개인 및 가족과 관련된 인간관계의 본질, 기능, 그리고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 있다. 가족생활, 보육, 가사(家事)와 돈 관리, 의사결정력, 의사소통 능력, 자기 인식, 위기관리, 그리고 가족 및 지역 범위 내에서의 개인의 역할과 책임 등이 토의된다. 개인 및 가족의 유일성, 욕구, 그리고 관심사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코스에서는 다음의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다.
1. 자기 관리 : 자아개념/ 가치·목표·의사결정/ 스트레스 관리/ 사춘기/ 거절하는 기술
2. 의사소통 : 의사소통의 기초/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
3. 가족 : 변화하는 가족/ 건강한 가족 만들기/ 부모와 10대의 자녀/ 늙음에 대한 태도
4. 위기관리 : 이혼과 편부모에 의한 자녀양육/ 가정폭력
5. 이성교제 : 이성교제의 과정/ 책임 있는 이성교제/ 사랑
6. 결혼준비 : 독신생활/ 배우자 선택
7. 결혼 : 결혼관계 형성하기/ 결혼생활 적응/ 행복한 결혼생활 만들기
8. 돈 관리 : 현명한 소비자/ 예산관리
9. 현명한 부모 되기 : 부모 준비/ 임신/ 아동학대 피하기/ 부모됨의 기초/ 긍정적인 자녀 양육
*참고: NASAFACS(1998), Utah State Office of Education(1996)

(2) FCCLA(Family, Career and Community Leaders of America)를 통한 가족생활교육 실천사례
FCCLA 프로그램은 「가족이 첫째(Family First)」 등 7개의 가족 관련 프로그램, 「직업과의 연계(CareerConnection)」 등 5개의 직업과 관련된 프로그램, 「지역사회 서비스(CommunityService)」등 7개의 지역사회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있다(http://www.fcclainc.org). 여기서는 가족 관련 프로그램만 소개해보고자 한다.

① ‘Families First’ 프로그램 -가족의 역할, 인간관계, 성공을 위한 전략-
‘Families First’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가족들이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가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며, 건강한 가족구성원들이 되기 위한 능력을 배우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청년들이 건강한 가족구성원, 현재 및 미래의 지도자가 되도록 돕는 데 있다. 또한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의 가족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
② ‘Student Body’ 프로그램 -영양, 체력증진(fitness),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선택-
‘Student Body’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바르게 섭취하고, 체력을 단련하며, 그리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청년들이 그들의 건강에 대하여 사전지식을 가지고 책임 있는 선택을 하도록 돕는 데 있다. 또한 청년들에게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고, 의사소통 능력 및 지도력뿐 아니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③ ‘Financial Fitness’ 프로그램 -돈 관리-
‘Financial Fitness’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다른 젊은이들에게 현명하게 돈을 벌고, 저축하고, 그리고 소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참가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돈 관리, 소비자보호 운동, 그리고 재무 계획하기 등에서 청년들의 능력을 연마하는 데 있다. 또한 청년들에게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고, 재무 교육 능력,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지도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는 에 있다.
④ ‘FACTS(Families Acting for Community Traffic Safety)’ 프로그램 -정신 차리고 운전하기, 승객 주의사항, 안전하게 운전하는 습관-
‘FACTS(Families Acting for Community Traffic Safety)’프로그램은 청년들이 정신 차리고 운전하기, 안전벨트 사용하기, 그리고 안전하게 운전하는 습관 등을 통해 생명을 구하려고 노력하도록 하는 국가적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청년 및 성인들이 술 및 다른 마약의 영향 하에 있을 때 운전하는 것을 단념시키는 데 있으며, 승객 주의사항(안전벨트, 아동용 안전 좌석 등)의 활용을 증가시키는 데 있다. 또한 청년들 간에 안전한 운전 태도 및 습관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⑤ ‘Dynamics Leadership’ 프로그램 -FCCLA와 가정과교육(FASE)를 통해 건강한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도움-
‘Dynamics Leadership’ 프로그램은 FCCLA와 가정과교육(FASE)를 통해 건강한 지도자를 양성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배우는 것, ⓑ지도력의 일생동안의 이점을 인식하는 것, ⓒFCCLA를 통해 지도력을 실천하는 것, ⓓ가정, 직장 그리고 지역사회를 위한 건강한 지도자가 되는 것을 돕기 위해 정보, 활동, 그리고 프로젝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⑥ ‘Japanese Exchange’프로그램(생략)

3) 오하이오주의 사례
(1) 가정교과의 성격 : 「Work and Family Life」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변화하고 있는 가족의 일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자아 존중감, 지식, 및 기능을 획득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92:1).
(2) 교과의 목적 : 「일과 가족생활(Work & Family life)」이라는 새로운 중·고교용 교육과정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정, 일터, 그리고 사회의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가족구성원의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능력 있는 개인은 논리적인 판단을 하며, 서로를 배려하며, 그리고 자신과 타인을 위해 책임 있는 행동을 한다. 학생들은 각 과정(course)에서 논리적인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상호간의 의사소통 기술, 일과 가족을 관리하는 일, 훌륭한 시민자질, 그리고 통솔력을 기른다. 이 교육과정은 일과 가족사이의 관계에 특별히 중심을 두며, 삶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이 다양화된 사회에서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
(3) 내용선정 및 조직방식 : 「Work and Family Life」 프로그램은 개인 발달 및 가족을 강하게 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영역의 적용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훈련시키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핵심과정 능력에는 학생들이 개인 및 가족 구성원으로서 유능하게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일생을 통해 개인 및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포함된다.
중학생용의 「Impact Program」 과 「Work and Family Life Program(모든 학생용)」은 공통의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Work and Family Life」프로그램 교육과정 구조는 일련의 필수적인 핵심코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과정들은 모두 사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핵심코스 영역에는 「자아 정체감 창조(creating a self-identity)」, 「타인과의 관계(relating to others)」, 「자립을 위한 준비(becoming independent」, 「자원관리(managing resources)」 등이 포함되고 있다. 또한 각 코스마다 문제해결 능력, 대인관계 능력, 관리 능력, 시민 자질 등과 같은 핵심과정 능력을 기르도록 되어 있다. 교육과정의 범위와 깊이는 코스의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한 학기 코스는 모든 핵심과정 능력과 네 가지 내용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해야 한다. 1년 코스는 모두 포함해야 한다. 특히 중학생들을 위한 내용은 전기 청소년들의 발달과제, 중학생들이 직면하는 문제 및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어 선정하고 있다(<표3>참조). 이러한 문제들은 최근 이론이나 중학교 교육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고 있다.
<표3> 오하이오州 중학교 교육내용
핵심 과정 능력문제해결 능력, 대인관계 능력, 관리 능력, 시민자질
핵심코스하위 영역 구체적 내용자아
정체감
창조자아형성에 관한 관심자아 존중감, 자아 정체감과 수용, 가치와 태도, 목표, 정서, 자기 조절 성에 관한 관심성에 관한 의사결정, 십대 임신, 성관계에 의해서 전염되는 병개인적 용모에 관한 관심개인적인 이미지, 몸차림, 의복의 선택건강한 생활양식에 관한 관심건강, 식품선택, 영양, 체중조절, 무질서한 식습관, 여가, 스트레스, 약물남용, 자살타인과의
관계의사소통에 관한 관심의사소통 기술, 주장 훈련, 갈등관리, 지원체계가족관계에 관한 관심가족의 본질, 가족역할과 기능, 가족의 생활양식, 건강한 가족,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가족 위기와 스트레스, 가정폭력동료관계에 관한 관심우정, 동료 압력, 이성교제아동에 관한 관심아동발달, 생활지도, 놀이타인 배려에 관한 관심돌보는 사람, 아동 돌보기, 노인 돌보기, 특정 요구를 가진 사람 돌보기, 애완동물 돌보기사회에 관한 관심시민의식, 사회참여, 범지구적 인식, 기술과학, 변화자립을
위한 준비자기 보호에 관한 관심책임감, 자기 보호, 상호의존의복에 관한 관심구매, 손질, 관리, 구성음식준비에 관한 관심구매, 부엌관리, 레시피 활용, 안전과 위생, 비품, 식단과 간이식직업에 관한 관심자기 평가, 직업적인 선택, 기업가 정신, 직업 탐색일 역할에 관한 관심일의 존엄성, 학교에서의 일, 작업 습관, 작업관계, 일과 가족 자원관리인적자원에 관한 관심자원의 활용, 개인의 잠재력, 시간관리경제적 자원에 관한 관심수입 획득, 소비패턴, 예산 세우기, 재정적인 서비스 소비자주의에 관한 관심소비자 의사결정, 광고, 상표, 권리와 책임, 소비자 보호생활환경에 관한 관심주거, 더불어 사는 책임, 개인생활 공간, 주거환경 보호, 지구환경 보호
출처: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94:17-19.
2. 일본 초·중등학교의 가족·가정생활교육 사례

최근 일본사회에서도 아이들의 자립심 약화, 즉 살아가는 힘의 약화와 물질적 풍부함 속에서 마음의 빈곤이 두드러짐으로 인해 가족․가정생활교육을 학교교육을 통해서 강화하기로 했다. 그 후속 조치로 학교교육에서 어떤 분야에서 그런 교육이 행해질 수 있을까 검토되었다. 현재 학교교육에서 가족․가정생활을 다루고 있는 교과는 도덕/윤리교과, 사회과, 가정교과이지만, 가족․가정생활부분을 가정교과가 맡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교육과정심의회에서 결론을 내렸다. 그 이유는 도덕/윤리교과에서는 가족문제를 취급하지 않으며, 사회과에서 검토한 결과 “가정"만 한정하기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족의 문제해결을 위해서 가족․가정생활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룰 있는 가정교과가 담당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의견이 일치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가정교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완되도록 하였다(石川 實, 1999).
① 남여 공동 참여사회 실현을 목표로 한다(전 개정부터).
② 학생들에게 살아가는 능력을 기르게 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자각시킴과 동시에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자기의 성장을 목표로 하는 마음의 교육을 중시한다.
③ 사회와 자기, 가족과 자기, 개인을 기르는 가족의 사회적 임무를 자각시킨다(이유: 요즈음의 학생들은 가족과 사회가 나를 위해서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이며, 또한 사회로부터 요청받고 있는 가족구성원의 임무 중요하기 때문에 포함시킴). 또한 유유아기(乳幼兒期)부터 고령기에 이르기까지 사람의 생애 주기별 각 단계에서의 가족과제․생활과제를 해결하는 기초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사람의 일생’이라는 시각을 갖게 한다.
④ 자녀수의 감소, 고령화, 가정 내 폭력 등의 사회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을 한다.
⑤ 사회와의 관련을 중시한 이상적인 가족·가정의 모습, 가정생활의 운영을 위한 지식 이외에 고령자 복지 문제 등을 중시해서 인문·사회과학적 영역의 교육을 중시한다.
⑥ 의식주에 관한 기능교육을 상대적으로 줄인다.
따라서 일본의 초·중등 가정과의 경우 가족·가정생활 영역을 필수적으로 포함되도록 되어 있으며,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영역이다. ‘가족생활’ 영역의 내용체계를 살펴보면 <표4>와 같다(文部省, 1998a; 文部省, 1998b; 文部省, 1999).

<표4> ‘가족·가정생활’ 영역 내용체계
필수과정초등 5·6학년중고 (가정기초, 가정종합, 생활기술 중 택1)․가정생활과 가족
-가정에는 자신이나 가족의 생활을 지원하는 일이 있다는 것을 아는 것
-자신이 분담한 일
-생활시간, 유효한 사용방법, 가족과 협력하는 것
-가족과의 교제나 단란, 즐겁게 하는 궁리․가족과 가정생활
-자신의 성장과 가족이나 가정생활과의 관계
-유아의 발달과 가족; 유아의 관찰과 놀이 도구 제작, 유아 놀이의 의의, 유아 발달의 특징, 성장 환경으로서의 가족의 역할
-가정과 가족관계; 가정이나 가족의 기본적인 기능, 가족관계 잘 하는 방법, 가정생활은 지역사람들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는 점을 아는 것
-가정과 생활과 소비; 판매방법의 특징이나 소비자 보호, 생활에 필요한 물자나 서비스의 선택, 구입 활용, 환경을 배려한 소비생활
(선택 영역; 유아의 생활과 유아와의 교제, 가정생활과 지역과의 관계)<가정종합의 경우>
․사람의 일생과 가족·가정
-사람의 일생과 발달과제 -가족·가정과 사회 -생활설계
․아동의 발달과 보육·복지
-아동발달 -부모의 역할과 보육 -아동복지
․고령자의 생활과 복지
-고령자의 심신의 특징과 생활 -고령자 복지 -고령자의 개호와 기초
․소비생활과 자원·환경
-소비행동과 의사결정 -소비자 권리와 책임
-소비행동과 자원·환경
Ⅳ. 수업의 실천 사례

7차 교육과정에서 「가정과학」은 가정경영의 차원에서 가족의 문제 해결을 통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합리적인 생활관리에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길러 주는 데 있다. 또한 단편적인 지식과 기능의 습득보다는 학생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탐구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7차 교육과정의 방침에 따라 기존 교과 내용을 실천력을 기르는 수업 내용으로 재구성해 보았다(<표5> 참조).

<표5> 재구성한 ‘가족생활’ 영역 내용
교과대상 학년영역교과서
단원재구성한
단원재구성한 중단원고등학교
가정과학2년가족
생활 인간발달과
인간관계1.자기관리
능력 기르기1-1. 자아개념 1-2. 가치·목표·의사결정
1-3. 스트레스 관리 1-4. 사춘기
1-5. 거절하는 기술2.의사소통
능력 기르기2-1. 의사소통의 기초
2-2. 비언어적 의사소통방법
2-3. 문제해결력 기르기 실습 결혼과
가족생활3.건강한
가족 만들기3-1. 변화하는 가족 3-2. 건강한 가족 만들기
3-3. 부모와 10대의 자녀4.위기관리
능력 기르기4-1. 가족의 위기관리
4-2. 가족복지 및 정책의 실태와 문제점 자녀양육5.현명한
부모 되기5-1. 부모 됨의 기초
5-2. 긍정적인 자녀양육 및 지도
[실천사례1]
1. 단원적용: 3-2. 건강한 가족 만들기
2. 학습목표
(1) 건강한 가족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2) 전통들이 건강한 가족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관계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인 특성과 부정적인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3. 학습활동
-도입 : 학생들에게 <학습활동지16; “여러분의 가족은 얼마나 건강한가?” >를 완성하게 하면서, 자신의 가족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해 왔는가에 대해 점검해 보도록 한다.
또한 스스로에게 다음의 질문에 답해 보도록 하면서 건강한 가족의 의미를 생각해 보도록 유도한다.
-우리가 진정 이루고 싶은 가정의 모습은 ?
-친구들을 초대해 보여주고 싶은 가정의 모습 ?
-자신을 당황하게 만드는 가족의 모습 ?
-집에 오고 싶은 생각이 들도록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부모에게 끌리게 되고 또 부모의 영향력을 받아들이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우리는 가족들에게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
-수업전개1
1. 건강한 가족의 특성을 알아본다(학습자료15 참조; 학습활동지17은 과제로 낼 것).
[학습활동지17 과제] 아래 여러분의 가족을 건강하게 만들 7가지 아이디어(서약, 함께 시간 보내기, 감사, 의사소통, 의사결정과 책임, 문제해결하기, 가치 및 정신적 건강)가 있다. 적어도 3가지 활동을 선택해 이번 주에 완성해라. 그러한 활동이 여러분의 가족관계를 어떻게 향상시켰는가에 대해 설명하면서, 여러분이 완성한 각 활동에 대해 서술해라(분량; A4용지 1/3씩).
2. 각 가정의 규칙 만들기(학습자료15 참조/ 학습활동지18).

-수업전개 2
1. 학생들에게 그들 가정의 전통이 어디에서 유래했으며, 왜 그것을 지켜야 하는지에 대해 친구들과 공유한다.
2. <학습활동지19>를 이용해 가족관계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인 특성과 부정적인 특성을 정리해 본다.

-수업전개 3
1. NIE활동(준비물: 4절지 또는 8절지, 잡지 또는 신문, 풀, 가위) :가족 초상화 만들기
잡지에서 그림을 오리거나, 직접 그리거나, 또는 가족구성원의 실제 사진을 사용하여 가족 초상화를 만들어 본다. 두꺼운 종이 위에 그들의 초상화를 붙이고, 이름 및 연령, 그리고 그들 각자를 잘 묘사하는 긍정적인 형용사 또는 적당한 말 3가지를 쓰도록 한다.
건강한 가족을 묘사하는 말
따뜻하다, 행복하다, 사랑한다, 예의바르다, 다른 사람의 입장을 고려한다, 다른 사람의 말을 머리와 가슴으로 듣는다, 평화롭다, 서로 돕고 돌본다, 속상한 일을 말할 수 있다, 솔직하다, 다른 가족이나 사람들을 생각하고 봉사한다.문제가 많은 가족을 묘사하는 말
말이 없다, 서로에 대해 무관심하다, 냉정하다, 서로에 대해 모른다, 서로를 무시한다, 신체적으로나 말로 폭행을 하며, 학대한다, 희망이 없다, 양보하지 않는다, 우울하다, 서로 피한다.

-마무리 : [OHP자료1, 2]를 활용해 정리해 본다.
여러분이 건강한 가정에서 성장해 왔든 성장해 오지 않았든 간에 정신적·육체적으로 건강한 여러분 자신의 가정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여러분 현재의 가족이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면, 여러분이 만들 새 가족에게 그 장점들을 전달해라.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다른 사람, 자기 자신 또는 환경을 비난하기보다 미래 가족구성원 상호 잘 보살피고 사랑하는 가정을 만드는 데에 책임을 다해라. 그러한 가정은 우연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가치로운 일이다. 미래 여러분의 가족에게 투자하는 것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이다.



[학습활동지17 여학생사례: 2803 김민선] 여러분은 여러분의 가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서 약 지난 금요일 언니 가족이 왔었다. 나는 토요일에 영어시험이 있었지만 금요일에 희원이네(조카의 이름)가족이 온다는 얘기를 듣고 미리 단어를 다 외워났다. 언니네 가족이 오게 되면 그 날짜는 거의 금요일이었고 나는 그때마다 할 일이 많아 언니와 얘기도 많이 나누지 못하고 가족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끼어있지도 조카들과 놀지도 못했었다. 그래서 항상 언니네가 갈 때쯤에야 언니, 형부와 얘길 나누곤 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모든 일을 앞당겨서 하고 가족들과 재미있게 이야기도 하고 놀기로 했다.
우선 맘 편하게 가족들과 얘기를 나눈다는 게 좋았다. 늘 수행평가다 뭐다 해서 다같이 얘기할 기회가 없었는데 가족들과 같이 지내기 위해 일을 미리 끝내놓으니 마음도 편하고 조급해지지 않아서 이야기를 편한 상태에서 나눌 수 있었다.
특히나 결혼 한 언니들에 대해서 한 가족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신경을 안 쓴 것 같아, 미안했다. 우리는 분명 한 가족인데 언니는 나의 최근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나는 아는 게 없었다. 앞으로는 가끔씩 전화를 해야겠다. 가족들은 다같이 있게 되어 모두들 더 좋은 것 같았다.감 사 요즘 내가 예비 고3이라는 이유로 엄마랑 아빠에게 화도 내고 용돈도 더 달라고 하는 몹쓸 짓(?)을 저질렀다. 늘 지나고 나면 ‘이건 아니였어’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오히려 가까운 관계여서 그런지 미안하다는 말을 하기가 어려웠다. 또 생각해보니 잘못을 저질러서 '잘못했어요.'라는 말을 한건 기억해도 언제 고맙다 미안하다는 말을 한지 기억나지 않았다.
용기를 내서 엄마에게 편지를 썼다. 편지를 화장대에 놔둘 때까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 막상 놔두고 나니 맘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었다. 편지가 면죄부가 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마음에 짐이 덜어진 건 사실이었다. 또 편지를 쓰면서 앞으로 엄마에게 짜증내는 그런 바보 같은 일을 다신 안하기로 마음을 굳게 먹었다. 엄마가 그걸 보시고는 ‘많이 힘들지 않냐’며, 수험생인 네가 더 힘들지 엄마는 그냥 뒤에서 지켜보는 건데 힘들게 뭐가 있냐고 하셨다. 나는 엄마가 날 얼마나 사랑하는지 느낄 수 있었다.함께 시간 보내기 가족이 모인 김에 나는 요리를 하기로 마음먹고 핫케이크 재료와 비디오를 준비했다. 비디오는 모두가 볼 수 있는 '니모를 찾아서'를 준비했다. 모두 맛있는 것을 먹고 함께 재미있는 것을 보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하고.
이보다 행복한 시간이 또 있을까. 또 이렇게 맘먹으면 모두가 모일 수 있는 우리 집에 얼마나 행복한지 다시 한번 깨달았다. 가정시간에 가정해체에 대하여 배우고 난 직후라 깨달음이 더했다. 행복한 가정을 만드는 게 어찌 보면 어렵고 노력도 많이 해야 하는 것 이지만 행복한 가정은 우리 가까이에 있다. 모두가 재미있는 비디오를 봐서 기분이 좋은 것 같아보였다. 그로 인해 나도 기분이 좋아졌다.

[실천사례2]
1. 단원적용: 3-3. 부모와 10대의 자녀
2. 학습목표
(1) 자녀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정서적 발달 면에서 기본적인 자녀양육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2) 자녀에게 자기 규율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그들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과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다.
(3) 부모 자녀 관계와 관련된 책임을 정의할 수 있다.
3. 학습활동
-도입
학생들에게 <학습활동지20>를 완성하게 하면서, 부모와 자녀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방해하는 특성에 대해 점검해 보도록 한다.
-수업전개
1. '부모를 위한 지침서' 만들기(학습활동지 21)
2. 가족들의 책임과 가족구성원 서로에게 가지는 감정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함께 토의해 보자(학습활동지 22).
1조: 여러분들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도록 만드는, 부모들이 할 수 있는 일 목록을 만들기
2조: 가족관계를 원활하게 만드는, 10대가 할 수 있는 일 목록을 만들기
3조: 자신들의 부모들이 자주 인용하는 공통적인 문구들의 목록을 만들기
4조: 10대인 우리들이 자주 사용하는 상투적인 어구들의 목록을 만들기
5조: 부모들이 한 행동 중 10대인 우리들을 귀찮게 하는 것들의 목록을 만들기
6조: 여러분들이 한 행동 중 여러분들의 부모를 괴롭히는 행동들의 목록을 만들기

3. '권리와 책임 헌장' 만들기(학습활동지 23)
작성한 헌장과 「한국 청소년 헌장」(OHP자료)을 비교 검토한다.
-마무리: 여러분의 부모들이 여러분을 길러 온 방식은 현재 여러분이 가진 자녀 양육 방식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러분이 더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 여러분이 받아 왔던-그것이 좋은 방식이든 좋지 않은 방식이든-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활용해라.

[학습활동지21 학생사례: 2-6 윤청미]
'부모를 위한 지침서' 만들기 여러분은 활동, 교육, 결혼, 책임, 약물복용 등 기본적인 과제에 대해 부모와 의견이 다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각이나 견해가 변하는 것은 정상적이고 건강한 것이다. 특히 가족들이 이러한 견해를 토의하고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개방된 의사소통 통로를 가지고 잇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 질문들을 읽고 각자가 경험한 것을 토대로 부모를 위한 지침서를 만들어라.

1. 여러분이 어렸을 때, 여러분의 부모가 여러분에게 어떤 기대를 했는가(예: 가사일 돕는 것, 순종, 좋은 성적 등) ?
(지침예시) -여러분이 기대하는 것을 자녀들이 알게 해라.
-자녀들이 스스로 통제하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자녀들에게 규율과 한계를 정해라.
2. 여러분의 부모들은 여러분을 다른 형제들과 똑같이 사랑을 했느냐 ?
-여러분은 여러분의 자녀를 똑같이 대우할 수도 없고 대우해서는 안 된다.
-여러분은 공평하게 다루려고 노력해야 한다.
3. 여러분은 부모로부터 버릇이 없다고 맞은 경험을 기억하느냐 ?
-여러분은 자녀들에게 벌을 내릴 때, 그들에게 왜 벌을 내리는가에 대해 말해라.
-잘못한 행위로 인해 그들을 미워한다고 자녀들이 생각하도록 하지 마라.
-잘못한 행위에 적절한 벌을 내려라.
4. 여러분의 부모들은 여러분의 의견을 존중했으며, 여러분 스스로 결정하도록 했느냐?
-자녀들에게 결정하도록 해라. 그것이 그들이 배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들의 견해가 비록 잘못되었을지라도, '안 돼'라고 말하기 전에 적어도 끝까지 들어라.
-기꺼이 여러분의 마음을 바꾸려는 약간의 융통성을 가져라.
-규칙을 만들고 그것을 자녀들에게 지켜라.
-항상 자녀들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해라.
5. 여러분의 부모들은 그들이 여러분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했느냐?
-여러분의 자녀에게 관심을 진정으로 기울여라.
-자녀들은 여러분이 그들의 편에 있다는 것을 느끼기를 원한다.
6. 여러분의 부모들은 여러분의 친구들을 어떻게 생각했는가?
-여러분이 자녀들의 친구를 알 때까지 자녀들의 친구들을 비판하지 마라.
-위험하다고 생각되더라도, 자녀들을 그들의 친구들로부터 격리시키는 것보다 위험에 대해 경고를 해라.
7. 여러분의 부모들은 여러분들에게 '책임과 의존'의 균형을 적절하게 취했느냐?
-자녀들이 아무리 언짢게 하더라도, 인내하라!
-자녀들에게 그들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일 기회를 제공해라. 그러나 한꺼번에 너무 많은 책임을 부여하지 마라.
8. 여러분의 부모들은 서로 어떻게 대우했는가?
-그들의 의견이 서로 다를 때라도, 서로 존중했다.
-부모들 간의 증오는 자녀가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겁먹게 하는 일들 중의 하나이다.
9. 여러분에 대한 여러분의 부모들의 목표는 무엇이었는가? 그들의 목표는 여러분의 목표와 같았는가 ?
-부모 자신을 위해 자녀에게 바라는 목표를 결정하지 마라.
-어떤 일이 자녀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그 일이 자녀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도록 노력해라.
10. 여러분의 부모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장 좋은 기억들은 ?
-자녀들이 사랑의 기억들을 만들 수 있도록 자녀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가져라.
-가족과 함께 재미있는 일이나 흥분시키는 일을 한 것은 오래 지속된다.

- 부모를 위한 지침서 -

1. 부모가 이루지 못한 것을 자녀가 이루게끔 책임을 전가하지 마라.
2. 혼자 크는 아이에게는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마음씨를 가져라.
3. 영어나 수학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예의범절임을 가르쳐라.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경우 체벌보다는 진지한 대화를 통해 교육시킨다.
4. 자녀가 부모에게 스스럼없이 자신의 의견을 밝힐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라. 가족구성원 간의 의견 교환을 통해 지적된 잘못된 점은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가르쳐라.
5.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자주하고, 틈틈이 애정 표현을 하라.
6. 자녀의 친구들을 좋다/나쁘다로 쉽게 매도하지 말고, 자라면서 좋은 친구에 대한 가치관을 자연히 알 수 있도록 하라.
7. 자녀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모두 나서서 해결해 주려고 하지 말고, 스스로 해결이 가능할 것 같은 문제들은 아이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하게 하라.
8. 자녀에게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사랑으로 달성해 주길 바라는 목표의 효용성은 대화로서 이해하게 하라.
9. 자녀의 목표를 존중하라. 그들이 달성해 주길 바라는 목표의 효용성은 대화로서 이해하게 하라.
10. 자녀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가능한 한 많이 만들고 최대한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하라.

[학습활동지23 학생사례: 2-5 최혜승]
‘10대를 위한 권리와 책임 헌장' 만들기 서울사대부고 10대인 나는 우리들의 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권리와 책임을 가진다.
1. 학생의 신분으로서 대학 진학을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할 책임이 있다.
2. 교복을 단정하게 입고 머리를 단정히 하고 쉬는 시간에는 미리 수업준비를 해놓고 수업시간에 잡담을 하지 않는 등 학교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다.
3. 학교라는 큰 집단의 일원으로서 학교시설(난방, 급식시설 등...)에 대한 불만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
4. 나는 진로 선택에 관한 문제를 결정할 때,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가질 뿐 아니라 부모님으로부터 그 결정에 대해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5. 부모님, 친구 등 모든 사람으로부터 사생활을 보호 받을 권리가 있다.‘부모를 위한 권리와 책임 헌장' 만들기 1. 나는 자녀들이 어느 정도 공부를 하는 알기 위해 성적표를 볼 권리와 어디에 돈을 사용하는 지에 대해 알 권리가 있으며, 귀가시간을 정해 줄 권리가 있다.
2. 나는 자녀들이 진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고, 자녀들의 진로결정에 부모로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자녀를 지도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3. 나는 자녀들이 마음 놓고 열심히 공부할 수 있도록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책임이 있으며, 자녀들이 공부 외에 다른 관심거리가 있을 때에는 그에 대한 지원을 해줘야 할 책임도 있다.
4. 나는 자녀들의 의견을 귀담아 들어줘야 할 책임이 있고, 자녀가 행복한 가정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부부가 서로 다정한 모습만을 보여줘야 하며, 자녀의 사생활을 보호해 줘야 할 책임이 있다.
5. 나는 삐뚤게 나가는 자녀에게 올바른 길로 인도할 책임이 있고 어떠한 일이 있어도 자녀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할 책임을 진다.
Ⅴ. 맺는 글

진정한 성인이란 신체적으로뿐 아니라 정신적으로 성숙된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본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가정의 주역인 남녀 학생들이 책임 있는 성인이 되도록 하는 데 있었다. 특히 실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수업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었다. 나아가 책임 있는 성인은 현재 및 미래 가정생활에서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뿐 아니라 수행한 역할에 대해서도 책임질 줄 알게 된다는 것을 깨닫게 하려는 데 있었다. 따라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책임 있는 가족구성원들을 육성함으로써 가족문제 및 가족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감소시켜 건강한 가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하는 데 ‘건강한 가족 만들기’수업의 의도가 있었다.

참고문헌
교육부(1997).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구본용, 이명선, 조은경(1994). 청소년의 수험행동.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6). 청소년대화의 광장. 37-42.
구본용, 김병석, 임은미(1996). PC통신을 통한 청소년 정서교육 프로그램. 청소년대화의 광장. 11-20.
김오남(1994). 어머니와 청소년자녀의 의사소통유형지각과 가족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32(3). 105-119.
김미숙(2006). 한국가족은 위기인가, 보건복지포럼 5.
김영나(2003). 여자중학생의 당면문제에 대한 가정교과의 실천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지선(1996). 학업성적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주·김경신(1995). 어머니와 청소년자녀가 지각하는 의사소통유형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 대한가정학회지. 33(4). 27-38.
배영미(1998a). 가정과 교육에서의 청소년문제 예방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I) -전화상담사례에 나타난 청소년 문제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1). 123-136.
______(1998b). 가정과 교육에서의 청소년문제 예방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II) -청소년관련 신문기사분석을 통해 본 청소년 문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2). 131-144.
서대선(1994). 청소년 품행장애와 가족관계 특성. 단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태명외(2004). 가정과수업I, 신광출판사.
이수희(1999).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______(2005).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위한 가족생활교육, 신광출판사.
______(2006). 실천문제 중심의 가정생활문화교육, 2005년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동계학술대회집, 105-126.
이시경·유태명(1997). 고둥학교 가정교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역할놀이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교육학회지. 9(2). 101-114.
전국가정교사모임(2006). 새롭게 만들어가는 가족이야기, (주)교문사.
전세경(1998). 실과교과에서의 가족생활 영역의 교육을 위한 시론.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1(2). 1-14.
전세경·양정혜(2003). 초등교육에서의 가족생활교육 내용 체계화를 위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4). 67-80.
채정현(2002). 가정과교육의 새로운 정체성, 전가모 참실대회집(20).
최규련(1996). 가족학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 문제와 대책. 대한가정학회지. 34(1). 147-159.
______(1997), 가족생활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22.
한겨레신문 2005. 6.29일자 기사.
허무열(1983). 중학교 상담실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石川 實(1999). 일본가정과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고려대학교 사범대․가정과교육학회 주최 초청강연회집.
文部省(1998a). 小學校 學習指導要領.
文部省(1998b). 中學校 學習指導要領.
文部省(1999). 高等學校 學習指導要領.
J.Kister,et.al.(1994),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resource guide. Columnbus, The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J.Wheeler, et. al.(1997), Adult Roles and Responsibilities Resource Guide, The Utah State Office of Education.
NASAFACS(1998),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Ohio Department of Education(1992), Work & Family Life Program Information Packe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994),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resource guide. Columnbus, Ohio.
Souther, C., & Woodruff, A.(Eds)(1996). Family and Consumer Studies Curriculum for Oregon middle schools.
Utah State Office of Education(1996), Family & Consumer Sciences Education in Utah -Program Planning & Curriculum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