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수업자료

힌두교의 신들

햇살수풀 2006. 12. 21. 12:28

힌두교 신은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의 신에게서 유래 받은 것이 많다.

황소숭배, 전쟁신 인드라. 만행의 신들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1. 브라만신은 남신으로 우주의 창시자이고

2 시바신은 파괴의 신이고 비쉬누 신은 브라만이 창조한 우주를 보존케 하는 신이다.

   푸른색이 신을 상징하는 색이며 신비로운 정적의 신이자 춤의 신, 생식의 신으로

   카일라스 산에 정좌해 있다가 우주의 질서가 흐트러 지면 나타나서 바로잡는다.

   시바신을 숭배하는 힌두교 신자는 이마에 가로무늬의 문양을 생긴다.

   시바신이 쥐고 있는 북은 창조를 화염은 파괴를 나타낸다.

3.  비쉬누 신은 인드라 신의 호전적인 본능과 세속적 쾌락을 애호벽을 이어 받았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정과    자비의 신이다.

4.  시바의 비인 칼리, 두르카, 파르바티, 우마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신들이 있는데

    지모신의 지위로 숭배를 받는다. 칼리는 무서운자, 검은자 란 뜻이고, 두르카는 접근하기 어려운 자,

    파르바티는 신의 딸, 우마는 빛이란 뜻이다. 불리어지는 다양한 이름의 신격을 갖는다.

    인간의 생혈를 마신다.

5. 크리슈나 - 비쉬누 신의 갖가지 인간의 모습으로 화신한 것으로 인도인에게 애호되는 신이다.

6. 략슈미 - 행운의 여신으로 바닷속에서 나온 여신이다. 다른 이름으로 룩미니, 라마가 있다.

7. 아바타르( 아바타) 신의 화신인 불의 신 아그니같은 다양한 형태의 신이 있다. 마실 것의 신, 만행의 신등은 중앙아시아 유목민에게 물려 받은 신들이고 특히 아그니느 ㄴ버터의 등과 불꽃같은 머리칼을 상징하며 땅, 하는 대기에 존재한다. 땅에서는 불이요, 대기에서는 번개, 하늘에서는 태양같은 자연 지물로 발현한다. 고대인들이 종교의식에서 신에게 드리고 마시는 소마는 일종의 환각제이다.

인도에서는 공인된 상표가 아니면 마실 것을 마시면 안된다는 이야기들은 이런 환각제들에서 기인하는 듯하다.

 

힌두교도들은 다양한 신 중에서 자신의 카스트나 자신이 상징하는 신을 하나만 믿는다.

그 신의 타르마에 따라 카르마를 행함으로써 영혼이 정화되어 나간다고 믿는다.

이러한 점에서는 또 일신교적인 면이 있다.

많은 신이 있지만 자신의 신은 오직 하나인 셈이다.